경제총조사는우리나라 기업 및 경제활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5년 단위로 실시하는 정부승인통계입니다.
정의
경제총조사란?
우리나라 전체 산업에 대한 고용, 생산, 투입(비용) 등에 관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동일시점에 통일된 조사기준으로 실시하는 대규모 전수조사
특징
-
국가 기본 통계조사
우리나라 모든 사업체 대상
통일된 조사기준과 방법을 통해
산업구조 파악
각종 사업체 표본조사의 모집단 및 표본틀 제공 -
가장 포괄적인 산업구조통계
한국표준산업분류 21개 중
19개 분류 포괄
-
소지역 단위 통계조사
지리정보시스템(GIS)과 연계하여
각종 공간분석에 활용
조사주기 및 연혁
-
조사주기 : 매 5년(0자 및 5자) 연도를 기준으로 1자 및 6자 연도에 실시
- 조사연혁
2011년 : 제1차 경제총조사 실시
- 산업총조사(1955~2004)와 서비스업총조사(1968~2006)를 통합
2016년 : 제2차 경제총조사 실시
법적근거
- 통계법 제5조의3에 의한 총조사 실시
-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지정통계(제101071호)
- 경제총조사 규칙(기획재정부령 제503호)